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금리 대상자 가입방법

by iamzip 2022. 2. 22.
반응형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금리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자소득 비과세와 저축장려금 지원 등을 통해 연 9% 금리 수준의 일반 적금과 유사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는 고금리 적금 상품으로 국민은행에서도 출시가 되었는데요. 은행마다 금리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중 국민은행이 제공하는 금리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금리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금리는 정부가 보장하는 24개월 기준 연 5% 최소로 제공합니다. 그리고 국민은행 내규로 최대 연 1%까지 추가 금리를 제공합니다. 단, 만기 해지 계좌에 대하여 계약기간 동안 적용되기 때문에 반드시 24개월간 불입액이 입금되어야 한다는 점 주의해야 합니다. 

 

신규일이 포함된 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급여이체실적 등이 월 합산 금액 50만 원 이상인 월이 6개월 이상인 경우 최대 0.5% 추가 금리를 적용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급여이체실적 등이란 KB국민은행과 급여이체 또는 대량이체 계약에 따른 급여성 선일자, 탑 라인, 프리미엄 뱅킹 등에 의한 실적을 말합니다. 

 

신규일이 포함된 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자동이체 등 창구 이외의 채널을 이용하여 KB국민은행 입출금통장에서 적금으로 납입된 월이 6개월 이상인 경우 0.3% 추가 금리를 제공하며, 신규일 기준 예금 및 적금 상품을 보유하지 않은 경우 0.5%를 제공합니다. 

 

이 외에 저축장려금이라는 별도의 항목으로 가입일에서 12개월까지는 납입원금의 2% (최대 12만 원)를 지급하며 13개월 ~ 24개월까지는 4% (최대 24만 원)을 지급합니다.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대상자 조회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대상자는 아쉽게도 제한이 있습니다. 나이요건은 가입일 현재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사람으로 병적증명서로 병역을 이행하였음이 증명되는 경우, 그 기간(6년 이내)을 가입일 현재 연령에서 빼고 계산한 연령이 만 34세 이하여야 합니다. 

 

여기에 소득요건까지 갖춰야 합니다.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전년 소득을 기준으로 한다는 사실도 미리 알려 드립니다. 

 

  • 직전 연도 총급여액이 3,600만 원 이하 (직전 과세기간에 근로소득만 있거나 근로소득과 합산되지 않는 종합소득세만 있는 경우에 한함)
  • 직전 과세기간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있는 경우 2,600만 원 이하
  • 직전 관세 기간에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고 총급여액이 3,600만 원 초과하지 않는 경우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가입 방법

청년희망적금을 국민은행에서 가입하기 위해서는 인터넷뱅킹 혹은 모바일 뱅킹을 통해 손쉽게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해당 상품을 출시하는 11개 은행 중 다른 은행에 가입했다면 중복가입은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에 국민은행에서 가입할 수 없습니다. 

 

정식 출시 즉 가입 첫 주에는 5부제 방식이 적용됩니다. 폭발적인 가입이 예상되기 때문에 자칫, 은행 서버에 과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가입 가능일자는 아래 표를 참고해 주십시오.

가입가능일 2월 21일 2월 22일 2월 23일 2월 24일 2월 25일
출생연도 91년, 96년, 01년 87년, 92년, 97년, 02년 88년, 93년, 98년, 03년 89년, 94년, 99년 90년, 95년, 00년

 

※ 총정리

 

  •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금리는 최대 6%입니다.
  •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대상자는 나이요건과 소득요건을 갖춰야 합니다. 
  •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가입 방법은 인터넷뱅킹 또는 모바일 뱅킹을 통해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금리 대상자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보다 더 좋은 조건의 금융상품이 출시될 가능성이 낮은 만큼 가입 조건에 해당한다면 꼭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