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출산 준비하시나요? 고운맘 카드, 맘 편한 카드 등등 들어보셨죠? 저희도 앞에 나열된 카드를 사용했었어요. 큰애를 낳을 때 50만 원 정도 정부에서 의료비를 지원받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러다가 아이가 자라서 어린이집을 가게 되었어요. 그랬더니 보육료를 보조해 주더라고요. 그런데 여기서 불편한 점이 발생합니다. 정부가 뭔가를 해 주려고 할 때마다 계속 새로운 카드를 발급받아야 하는 거죠. 그러다 이번에 셋째를 낳으면서 한 장의 카드로 국가가 지급하는 바우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국민행복카드를 알게 되었어요. 그래서 이와 관련된 내용을 공유하고자 이렇게 포스팅을 합니다.
국민행복카드의 정의에 대해 이야기 해 볼게요 정부에서 지원하는 국가 바우처를 한 장의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라고 합니다. 현재 모든 혜택들을 담지는 못 했지만 임신, 출산, 육아와 관련된 대부분의 혜택들은 전부 담아 두었어요.
바 우 처 서 비 스 |
지 원 대 상 |
지 원 혜 택 |
건강보험 임신 출산 |
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진 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
임신 1회당 60만원 이용권 |
청소년 산모 임신 |
만 19세 이하 산모로 임신 / 출산 의료비 지원 신청자 |
임신 1회당 120만원 이용권 |
사회서비스사업 8종 |
노인, 장애인, 출산가정 등 사업별도 다르니 확인 필요 |
|
기저귀 및 조제분유 지원 |
중위소득 40%(최저생계비 100%)이하 |
기저귀 월 : 64,000원 |
에너지 바우처 지원 |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로서 노인, 영유아, 장애인, |
1인 : 91,000원 |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
중위소득 120% 이하의 양육공백이 발생하는 가정 |
월 36만원 ~91만원까지 지원 |
여성 청소년 |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 법정 차상위계층, |
구매비용 연 최대 132,000원 |
위와 같이 지원 서비스와 대상에 대해 적어 보았어요. 아쉬운점은 바우처 금액이 생각보다 만족스럽지 않아요. 개인적으로는 부족하게 지원할 바에야 차라리 지원하지 않는 게 더 나을 정도로 출산장려정책이 정말 이 정도 인가할 정도예요. 게다가 신청하지 않으면 혜택을 받지 못하잖아요. 사실 이런 제도가 있는지 제대로 홍보되어 있지도 않아서 과연 해당자 중에 얼마나 수혜를 입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어요. 해당자는 자연스럽게 연락을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화 되기를 바라겠지만 아직이겠죠?
발급 절차는 이용하시는 카드사에 직접 신청하시고, 해당하는 바우처 서비스 별도로 접수 하셔야 해요. 접수 방법 적어 드려 볼게요.
바우처 서비스 |
접수방법 |
건강보험 임신 / 출산 진료비 지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카드 영업점 방문 |
청소년 산모 임신 / 출산 의료비 지원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을 이용한 온라인 신청 |
산모 /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산모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 |
기저귀 / 조제분유 지원 |
영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 |
에너지바우처 지원 |
주민등록상 거주지 읍/면사무소 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 |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
정부지원 : 복지로 온라인 신청 / 아이돌봄 서비스 : 아이돌봄 홈페이지 |
여성 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
청소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
대부분 온라인 또는 주소지 주민센터에서 신청이 가능 하니 해당 되시면 지체 없이 방문하셔셔 꼭!!! 혜택 받으시길 바랄게요. 코로나로 추운겨울 따뜻하게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상세한 정보는 아래 국민행복카드 홈페이지 링크 해 둘테니필요하신 분은 꼭 방문하셔셔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팝업 광고차단, 확장프로그램 없이도 가능한 방법 (0) | 2021.01.08 |
---|---|
컴퓨터 속도가 느려졌을 때, ccleaner로 해결 (0) | 2021.01.07 |
에너지바우처 신청자격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1.07 |
2021년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0) | 2021.01.07 |
멜론 플레이어 다운로드 쉽고 간단하게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