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증여세 면제한도

by iamzip 2021. 1. 19.
반응형

 

증여세 면제한도란?

보유세와 양도소득세의 세부담 증가로 가족 간의 증여가 활발해지고 있다는 소식을 매체를 통해 접하셨을 겁니다. 그 이유는 정상 매매 시 매매차익의 대부분을 양도소득세로 납부해야 하는 현 세법 때문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증여세율이 높기 때문에 증여 자체를 부담스러워하시는 분들도 계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증여세에는 면제한도라는 것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게 무엇이냐고요? 아래쪽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여세란?

먼저 증여세의 정의를 살펴보겠습니다. 타인의 증여에 의해 무상으로 취득한 재산을 과세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취득한 사람에게 부과하는 조세를 말합니다. 증여는 그 행위 또는 거래의 명칭 · 목적 등과 관계없이 직접 또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타인에게 무상으로 유형 · 무형의 재산 또는 이익을 이전하거나 타인의 재산 가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유증과 사인증여는 제외 하고 있습니다. 결론은 무상으로 누군가의 자산 증식에 기여했다면 그 혜택을 받은 자에게 세금을 부과하겠다는 말입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금액은?

증여세 면제한도란 말 그대로 증여할 때 일정금액 이하로는 증여세를 면제해 주겠다는 비과세 정책입니다. 다만 증여자와 수증자가 어떤 관계이냐에 따라 그 한도가 달라지는데요. 자세한 아래에서 계속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수증자 면제한도
배우자 6억원
직계존속 5천만원
직계비속(미성년자) 5천만원 (2천만원)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이 아닌 친족 1천만원

배우자는 6억원으로 가장 많은 한도액을 가지고 있으며,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이 아닌 친족은 최대 1천만 원까지 면제가 가능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건마다 면제를 하는 것이 아니라, 10년간 합산한 금액에 대해서 면제한도를 산정하며, 직계비속이 미성년자라면 한도는 2천만 원 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 반드시 챙겨두셔야 합니다. 

 

증여세율

그렇다면 증여세율은 얼마 일까요? 

과세표준 세율
1억원이상 과세표준의 10%
1억원초과 5억원 이하 1천만원 + 1억원을초과하는금액의20%
5억원초과 10억원 이하 9천만원 + 5억원을초과하는 금액의 30%
10억원초과 30억원이하 2억4천만원 + 10억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40%
30억초과 10억4천만원 + 30억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50%

총 5개 구간으로 나뉘어 있고 최대 세율은 50%로 결코 적지 않은 수준입니다. 예시를 들어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배우자에게 36억 1천만 원을 증여했다고 가정 해도 록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6억 원은 면제한도로 과세표준은 30.1억이 됩니다. 가장 높은 구간인 30억 초과 구간으로 납부할 증여세액 10.4억 + 1천만 원 * 50% = 10.45억 원으로 계산되어집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증여세 면제한도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절세가 가능한 부분인 만큼 이와 관련된 모든 내용을 전부 다 알지는 못하더라도 이런 제도가 존재하는구나 정도는 인지 해둬야 나중에 세금을 아낄 수 있다는 점 말씀드리며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준 알아보기

부양가족 기준 왜 중요한가? 드디어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보통 13월의 월급이라고 하는데요. 요즘은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된 거 같긴 합니다. 제가 처음 회사를 입사해서 담당했던 일이

buymyhome.tistory.com

 

 

투기과열지구 LTV (대출 한도) 알아보기

주택 구입 시 어떤 것들을 고려하시나요? 아마 대부분은 입지, 교통, 학군, 면적 등을 떠올리실겁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전부 만족스럽다 하더라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는데요. 그것은

buymyhome.tistory.com

 

 

반응형